
배우 이지아(46·김지아)가 조부인 고(故) 김순흥 친일파 논란에 “일제강점기 동안 취득된 재산이라면 반드시 국가에 환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발언을 하며 정면돌파에 나섰다.
19일 더팩트는 이지아의 아버지이자 친일파로 분류된 고(故) 김순흥 씨의 아들 김모 씨가 형제들과 법정 공방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씨는 김순흥이 남긴 350억원 상당의 토지 환매 과정에서 형·누나의 인감을 사용해 위임장을 위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사문서위조와 사기 등의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이력이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지아는 21일 소속사 BH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오랜 시간 고민하며 조심스러웠지만 이제라도 사실을 바로잡기 위해 책임을 다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해 어렵지만 용기를 내 말씀드린다”며 “입장 표명이 늦어진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이지아는 “전 18살에 일찍 자립한 이후 부모로부터 어떠한 금전적 지원도 받은 적이 없으며 부끄럽지만 복잡한 가족사로 인해 부모와 연을 끊고 지낸 지 이미 1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이번 논란이 된 가족 재산이나 소송 등 해당 토지 소유권 분쟁에 대해서도 저는 전혀 알지 못하며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이지아는 “제가 두 살이 되던 해 조부께서 돌아가셔서 조부에 대한 기억이 없으며, 친일 행위에 대해서도 전혀 알지 못하고 자랐다”며 “2011년 기사를 통해 처음으로 해당 사실을 접한 후 정확한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민족문제연구소를 여러 차례 방문하는 등 관련 자료를 확인하고 공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조부의 헌납 기록을 확인하게 됐고,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행위는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번 논란의 중심인 안양 소재의 땅이 일제강점기 동안 취득된 재산이라면 반드시 국가에 환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이번 논란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밝혔다.
이지아는 “전 과거에 조부에 대한 그 어떠한 발언도 한 적이 없으며 집안을 내세워 홍보 기사를 낸 적도 없다. 그러나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댓글에서 제가 ‘조부를 존경한다’고 말했다는 잘못된 내용이 확산됐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기에 바로잡고자 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조부의 대한 역사적 과오를 깊이 인식하며 후손으로서 진심으로 사죄드린다. 앞으로도 역사의 진실을 마주하는 데에 겸허한 자세로 임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살아가겠다”고 조부의 친일 논란에 대해서 거듭 사과했다.
지난 2011년 12월 정대철 당시 민주당 상임고문이 한 인터뷰에서 이지아의 집안이 해방기 이전부터 대단한 갑부였으며, 종로에서 비단상을 해 큰돈을 모아 육영사업에 환원하는 등 단순한 부자를 넘어 덕망까지 갖춘 분들이었다고 밝히며 관심이 모아졌다.
이에 당시 이지아 소속사는 “이지아가 고(故) 김순홍 씨의 손녀가 맞다. 김순홍 씨가 1976년 이전한 서울예술고등학교의 평창동 부지를 위해 사재를 내놓은 것도 사실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김순흥이 일제강점기의 대지주로 일제에 국방금품헌납자라는 의혹과 대한민국임시정부 김구 선생이 작성한 친일파 숙청 목록 1순위에 있었다는 점, ‘친일 인명사전’에 친일 반민족 행위자로 올라 있다는 점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다음은 이지아 공식입장 전문>
안녕하세요, 이지아입니다. 최근 보도된 내용에 대해 저의 입장을 전합니다.
오랜 시간 고민하며 조심스러웠지만, 이제라도 사실을 바로잡기 위해 책임을 다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해 어렵지만 용기를 내어 말씀드립니다.
입장 표명이 늦어진 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1. 가족 분쟁 관련 사실관계
저는 18살에 일찍 자립한 이후 부모로부터 어떠한 금전적 지원도 받은 적이 없으며, 부끄럽지만 복잡한 가족사로 인해 부모와 연을 끊고 지낸 지 이미 1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습니다.
이번 논란이 된 가족 재산이나 소송 등 해당 토지 소유권 분쟁에 대해서도 저는 전혀 알지 못하며, 관련이 없습니다.
2. 조부의 친일 논란에 대한 입장
제가 두 살이 되던 해 조부께서 돌아가셔서 조부에 대한 기억이 없으며, 친일 행위에 대해서도 전혀 알지 못하고 자랐습니다.
2011년 기사를 통해 처음으로 해당 사실을 접한 후, 정확한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민족문제연구소를 여러 차례 방문하는 등 관련 자료를 확인하고 공부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조부의 헌납 기록을 확인하게 되었고,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행위는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번 논란의 중심인 안양 소재의 땅이 일제강점기 동안 취득된 재산이라면, 반드시 국가에 환수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끝으로 드리는 말씀
저는 과거에 조부에 대한 그 어떠한 발언도 한 적이 없으며, 집안을 내세워 홍보 기사를 낸 적도 없습니다.
그러나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댓글에서 제가 ‘조부를 존경한다’고 말했다는 잘못된 내용이 확산되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기에 바로잡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조부의 대한 역사적 과오를 깊이 인식하며, 후손으로서 진심으로 사죄드립니다. 앞으로도 역사의 진실을 마주하는 데에 겸허한 자세로 임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살아가겠습니다.
[신영은 스타투데이 기자]